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

전통 건축의 좌향 설계 철학과 현대 주거 공간 구성 방식의 연결 방향은 단순한 위치가 아닙니다집을 지을 때 어느 방향으로 건물을 틀어야 할지를 고민했던 전통 건축의 태도는단지 태양의 위치를 고려하는 기술적 판단이 아니었습니다.바라보는 방향은 곧 삶의 방향이었고,집 안으로 들어오는 빛과 바람의 흐름은사람의 감정, 생체 리듬, 사회적 관계에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이런 전통의 관점에서 본다면, 좌향(坐向)은건축의 시작점이자, 사람 중심의 공간 구성 철학이었습니다.그리고 지금, 우리는 그 철학을 현대 도시 주거 구조 안에서 다시 꺼내볼 필요가 있습니다. 좌향이란 무엇인가요?전통 건축에서 말하는 좌향이란‘앉은 방향’과 ‘바라보는 방향’이 어떻게 설정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일반적으로 ‘남향집’이라 불리는 구조는집이 남쪽을 향해 앉도록(坐) 배치된 것을 의.. 2025. 6. 17.
보자기와 지승공예, 그리고 패키징이 전하는 감정 전통 접기 문화와 현대 패키지 디자인의 심리적 연결성을 이야기해 봅니다.포장은 물건을 싸는 것이 아닙니다포장은 단지 제품을 담거나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그 안에는 ‘전달’과 ‘기대’라는 감정이 담겨 있습니다.특히 누군가에게 건넬 때,포장 방식은 선물 그 자체만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무엇을 어떻게 감싸는가,어디서부터 열리도록 구성하는가,이 모든 과정은 사용자에게 심리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감정의 흐름을 설계하는 전통 포장한국의 전통 접기 문화인 보자기와 지승공예는단순한 포장 수단이 아니라,관계와 감정을 전하는 방식이자 정서적 설계 도구였습니다.이 전통은 오늘날 패키지 디자인의 감정 중심 설계 전략과도 깊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보자기, 감정을 접고 풀다보자기는 정사각형의 천을 사용하여 물건을 .. 2025. 6. 17.
한지의 자연 투과성과 현대 조명 디자인의 감성 적용 전략 앞서 전통조명의 기법과 한지의 건축자재로써의 활용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는데요.오늘은 이 두 가지를 접목시켜 한지조명의 글로벌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빛은 단순히 밝힘이 아닌 감정입니다조명은 공간을 밝히는 도구에 그치지 않습니다.빛의 방향, 온도, 강도, 질감은 사람의 심리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따뜻한 빛은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고, 부드러운 확산광은 집중력을 높이며,거친 광원은 불안과 피로를 유발하기도 합니다.이처럼 조명은 감정을 디자인하는 도구로 진화하고 있으며,공간에서의 사용자 경험(UX)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 전통 소재인 ‘한지’는빛과 감정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새로운 조명 전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지는 빛을 흡수하는 종이.. 2025. 6. 17.
한옥 바닥 높이 구조가 주는 심리적 안정감과 공간 설계 원리 경계를 만드는 작은 높이한옥을 처음 들어서는 순간, 바닥이 땅보다 높게 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눈에 띄지는 않지만 분명한 차이.그 미묘한 높이의 변화는 단지 구조적 선택이 아닙니다.공간을 구분하고, 사람의 심리를 안정시키며, 이동의 흐름을 조절하는 설계 장치입니다.이처럼 땅에서 일정 높이 올라간 한옥의 바닥 구조는 '기단(基壇)'이라 불리는 받침대를 포함합니다.돌과 흙을 다져 만든 이 구조물은 건물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공간 자체에 심리적 위계와 방향성을 부여하는 핵심적 건축 요소로 작동해 왔습니다. 단차는 무의식의 공간을 설계합니다현대인의 시선으로 보면 30cm 남짓한 높이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하지만 사람의 심리는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발걸음을 멈추고 자세를 조정하게.. 2025. 6. 16.
한국 전통 색상의 감정 반응과 제품 패키지 디자인 전략 색상은 감정을 설계하는 도구입니다제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색상은 단순한 외형 요소가 아닙니다.소비자의 첫 반응, 구매 판단, 브랜드 연상에 직결되는 감정 설계 장치입니다.특히 색은 문화와 연결되어 소비자의 무의식적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색상의 선택은 심리학, 인류학, 마케팅 전략의 교차점에 위치합니다.한국의 전통 색상은 단순한 미적 선택이 아니라자연, 방향, 계절, 감정의 원리와 연결된 의미 체계를 지니고 있습니다.이 전통 색상 체계를 이해하고, 현대 소비자의 감정 반응과 연결할 수 있다면패키지 디자인의 차별성과 깊이는 확실히 강화될 수 있습니다. 감정의 언어를 지닌 오방색한국 전통 색상의 중심에는 ‘오방색’이 있습니다.청(靑), 백(白), 적(赤), 흑(黑), 황(黃)은 단순한 색의 범주가 아니라방향,.. 2025. 6. 16.
전통 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현대 교육 콘텐츠와의 연결 놀이가 교육이었던 시대전통 사회에서 ‘배운다’는 것은 책상에 앉아 책을 읽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았습니다.아이들은 마당과 골목에서 자연스럽게 몸으로 세상을 익혔고,놀이라는 활동 속에서 사람과의 관계, 공간 인식, 감정 조절을 배웠습니다.말타기, 공기놀이, 비석치기 같은 전통 놀이는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서사회 구조, 인간 행동, 공동체 규범을 학습하는 장치로 작용했습니다.놀이는 경험을 구조화하지 않고도 학습을 이끌어냈고,이는 오늘날 교육 심리학에서 말하는 비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의 전형적인 예시입니다.지금의 교실이 제공하지 못하는 실제 상황 기반 학습과 정서적 반응을 통한 학습이전통 놀이에서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습니다.이것이 전통 놀이가 여전히 교육 콘텐츠로 재해석될 수 있는 이유입.. 2025. 6. 16.